2·8 독립 선언 100주년 기념식에 앞서 ‘전야제 - 새로운 100년의 맹세'가 7 일 재일본 한국 YMCA (이청길 이사장)에서 개최되었다.
서울 대학교 음악 대학 국악과 ‘아름드리’ 5명의 국악 연주를 선보였고 가야금 연주자 김얼과 고토 연주자 다카하시 테루미의 합동 공연에서는 ‘꽃’(타키 렌타로 작곡)과 '아리랑'을 연주했다.
가수 윤형주는 자신의 히트곡을 열창하며 관객들의 분위기를 돋은 후 육촌형에 해당하는 시인 윤동주의 '별 헤는 밤' 을 암송했다. 무대 마지막에는 출연자와 관객 전원이 '아리랑' 을 합창했다.
이튿날(8일) 열린 2·8 독립 선언 100주년 기념식에는 민단을 비롯한 한국의 주요 인사, 보도 기자등 약 300명이 참석했다.
이청길 이사장은 "지금부터 100년 전 암흑의 식민지 시대에 어린 학생들이 애국심에 들끓어 세계를 향해 독립을 외쳤다. 이 후 3·1 운동의 원동력이 되었다. 우리는 당시의 정의와 평화에 대한 열망을 다시 한번 상기해야한다" 고 개회 선언을 했다.
한국에서 방일한 국가 보훈처의 피우진 처장은 "2·8 선언의 고귀한 뜻과 정신을 다시 마음에 새기고 선배 열사가 꿈꾸던 미래 지향적인 한일 관계를 구축하자" 라고 강조했다.
2·8 독립 선언 100주년 기념 사업위원회 이종걸 위원장 (더불어 민주당 국회의원)은 "새로운 100년을 준비해 남과 북, 보수와 진보가 공동으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2·8 독립 선언의 사상과 당시 학생들의 애국심은 커다란 유산이다 " 라고 강조했다.
재일 한국 유학생 연합회 박순규 회장이 2· 8 독립 선언을 낭독한 후,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 사업 추진위원회의 한완상 위원장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것은 남북의 화해와 평화를 통해 세계 평화를 이루려는 2·8 독립 선언의 정신이다" 라고 본행사의 의의를 역설.
이수훈 주일 대사는 "한일의 인적 교류가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1000만명을 넘어 섰다. 한일 관계의 확고한 토대가되는 인적 문화 교류를 더욱 확대 시키자" 고 호소했다.
광복회 나종화 부회장은 “한일 양국의 평화로운 관계를 위해 양국의 정치인이 상대빙의 입장이되어 생각하는 자세로 정성을 다해 노력해야한다" 고 연설.
민단 중앙 본부의 여건이 단장은 "재일 동포 사회는 2·8 독립 선언과 3·1 독립 운동을 민족 운동과 청년 학생 운동의 출발점으로 삼아왔다. 한국의 번영과 자유와 민주주의에 입각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에 진력하는것이 오늘의 과제" 라고 인식을 새롭게했다.
이 날 행사는 동경 한국 학교 PTA 어머니 합창단과 학생 합창단이 태극기를 흔들며 '선구자' 등을 부르며 공연장을 하나로 만들었고, 재일 한국 청년회 중앙 본부의 박유식 회장의 만세 삼창으로 막을 내렸다.
또한 9일에는 2·8 독립 선언 100주년 기념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 주최측의 예상을 웃도는 250 명이 참가하였다.
1부는 역사학자 3인의 기조 공연.
오노 야스테루 씨 (큐슈 대학)는 2·8 독립 선언이 조선사뿐만 아니라 중국, 대만 일본등 동아시아사 전반에 걸쳐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발전해왔다며 그 의의를 강조했다.
윤경로 씨 (대통령 직속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기억기념분과위원장)는 2·8 독립 선언이 제시한 '동양 평화' 와 '세계 동맹' 에 주목하여 ‘민족주의' 를 선언해가며 그것을 초월한 아시아와 세계 인류가 함께 행복을 추구하는 인류 공존과 평화의 비전을 제시했다" 고 2·8 독립 선언을 높이 평가했다.
마지막으로 서정민 씨 (메이지 학원 대학 교수, 동대학 기독교 연구소장)가 2·8 독립 선언과 기독교의 관계에 대해 강연했다.
2부에서는 송연옥 씨 (아오야마 학원 대학 명예 교수)와 사토 히후미 씨 (메이지학원 히가시무라야마 중고등학교 교사), 고창희 씨 (히토츠바시 대학원생)이 합류해 '한・일・재일 사회의 미래 과제 '라는 테마로 전체 토론을 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