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재일 : [22-01-19] 조회수 : 13690
'제3회 인권세미나' 한국중앙회관에서 개최

1923년 9월 1일의 관동 대지진으로 희생된 동포들을 추모 하는 ‘제3회 인권 세미나’ 가 12월4일, 한국 중앙 회관에서 개최되었다. 이번에는 주로 치바와 사이타마의 학살 사건을 다루고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유언비어에 관련된 일본정부의 책임을 검증했다. 민단중앙본부 인권옹호위원회(위원장 이근줄)와 재일한국인 법조포럼(회장 은용기)의 공동개최.
주제는 ‘「잊지 말자!」 돌아가더라도 전진하자’. 공동개최 단체의 은 회장은 “우선, 사실을 인정하고, 모두 함께 공유하는 것부터 시작하자”라고 취지를 설명했다. 민단 중앙 본부에서는 여건이 단장이 개회사에 나서, 인권과 생활권 문제를 중심으로 한 민단의 지금까지의 대처를 되돌아 보았다.
세미나에서는 3명의 발표가 있었다.
히라카타 치에코씨(지바현의 관동대지진과 조선인희생자추도 조사실행위원회)가 가장 먼저 언급한 것은 대지진으로 통신이 두절된 가운데 내무성 경보국장 이름으로 계엄령과 유언비어를 후나바시에서 전국 지방장관에게 전달한 해군 도쿄 무선전신소 후나바시 송신소의 존재다.
나라시노 수용소에서는 군대가 ‘줄 테니 가지러 오라’ 고 굳이 민중에게 살육을 조장했다. 군대가 져야 할 책임을 민중에게 돌린 것이다. 여기에서도 국가의 관여가 제기되고 있다고 했다.
히라카타씨는 “(조선인 학살이) 없었다고 하고 싶은 것이겠지만, 어떻게 없었다고 말할 수 있는가” 라고 역사 수정주의에 대한 비판도 덧붙였다.
세키하라 마사히로씨(일조 협회 사이타마현 연합회 회장)는 “동경에서 불령선인(불량한 조선인)의 맹동 있음” 이라며 「경계」와「방책」을 호소한 사이타마현 내무부장이 발신한 「이첩」이 자경단이나 민중에 의한 학살로 연결되었다고 보고했다. “조선인을 살해한 일본인 민중의 책임은 무겁지만 이첩이 지역에 도착한 타이밍과 내용을 검토하면 (이첩을 만든) 국가의 책임은 그 이상으로 막중하다” 고 말했다.
동경을 무대로 한 기록영화 '숨겨진 손톱 자국'(83년)과 나라시노 수용소를 주제로 한 '불하된 조선인'(86년)을 제작한 영화감독 오충공 감독은 희생자 유가족을 한국 각지로 찾아다니며 신작을 준비 중인 상황을 설명했다.
3명의 발표가 끝나고 청중과의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마지막으로 대지진 희생자의 명복을 빌며 참석자 전원이 묵념를 올렸다.